오늘은 자바에서 변수와 자료형에 대하여 정리해보겠습니다.
[변수]
변수는 수학에서 많이 봐 익숙한 용어입니다. 변하는 수를 이야기 하죠 자바에서는 변하는 수라기 보다는 안에 여러 숫자를 넣을 수 있는 공간이라고 생각하면 좀 더 쉬울 것 같습니다.
변수를 선언할 때 유의해야 할 점은 아래의 4가지가 있습니다.
1. 변수의 이름은 영문자(대문자, 소문자)나 숫자 사용이 가능
2. 특수 문자는 $ _ , 이렇게 3가지만 사용이 가능
3. 변수의 이름은 숫자로 시작할 수 없음4. 자바의 명령어는 변수의 이름으로 사용할 수 없음
[자료형]
변수를 선언할 땐 그 변수가 어떤 것을 담을지에 따라 변수의 이름 앞에 자료형을 붙이는 형태로 나타내줘야합니다. 변수 하나당 하나의 자료형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 변수 A라는 곳에 정수를 담을 것이라면 int A;라는 형태로 변수를 선언해줘야합니다. 내가 B라는 변수에 정수도 담고 문자도 담고 싶다고 int char B;와 같은 형태로는 선언할 수 없습니다.
자료형은 크게 8가지로 나눠집니다.
1. 논리형 자료형 (boolean) : 1byte, true와 false값을 가진다.
2. 정수형 자료형 (byte,short,int,long) : 정수를 표현할 수 있다.
1) byte : 1byte, -128~127까지의 수를 표현할 수 있다.
2) short : 2byte, -32768~32767까지의 수를 표현할 수 있다.
3) int : 4byte, 약 21억까지의 수를 표현할 수 있다.
4) long : 8byte, 엄청 큰 숫자를 표현하는데 쓰인다.
3. 실수형 자료형(float, double) : 둘 다 실수표현이 가능하고 double이 더 범위가 정확도가 높다.
1) float : 4byte
2) double : 8byte
4. 문자형 자료형 (char) : 한 글자의 문자 표현이 가능하다. 작은 따옴표를 이용해 문자를 저장한다. 문자열은 불가능하다. (나중에 배울 String을 이용해 표현 가능)
* char와 String의 차이를 유의하기
[형변환]
원래 변수가 가지고 있는 자료형에서 다른 자료형으로 바꿔주는 것을 형변환이라고 한다.
같은 자료형 안에서 바이트 크기가 작은 자료형에서 큰 자료형으로 대입이 가능하다. 만약 큰 자료형의 데이터를 작은 자료형 데이터에 넣으면 자료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. 같은 크기의 자료형 이더라도 실수형은 정수형에 넣지 못하고 정수형은 실수형에 넣을 수 있다!
[레터 클래스]
자료형 8개와 똑같은 클래스이다. 자료형은 클래스가 아니기때문에 명령어를가질수 없다. 하지만 이러한 변수와 관련하여 명령어 즉, 메소드를 가지고 싶은 경우가 있기 때문에 각 자료형마다 레터 클래스를 만들어 각 변수 자료형과 관련된 명령어를 시행할 수 있도록 만들어놨다.
ex. int라는 변수의 자료형 -> Integer 레터 클래스 -> Integer.parseInt()와 같은 메소드를 쓸수 있게 만들어 둔 것!
'프로그래밍수업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. [HTML/CSS] input태그의 id와 name (0) | 2022.07.23 |
---|---|
1. [HTML/CSS] <div>와 <span> 사용법 (0) | 2022.07.23 |
[JAVA] 클래스, 접근지정자 그리고 메소드 (0) | 2022.05.30 |
[JAVA] 수동 컴파일 해보기(CMD 이용) (0) | 2022.05.30 |
[JAVA] 프로그래밍 언어란(JAVA, C++, C언어) (0) | 2022.05.3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