스프링 2.5는 거의 쓰지 않는 추세이지만 처음부터 배우기 위해서 가볍게 공부하고 넘어간다.
스프링에서 가장 주의해야 할 것은 객체 지향과 의존성 주입(IoC/DI), 관점지향프로그래밍(AOP)이다.
항상 이 3가지를 생각하면서 스프링 예제들을 따라해보자.
# 의존성 주입 (DI:Dependency Injection)
스프링에선 객체를 직접 생성하는 것이 아니라 외부에서 생성한 후 이를 주입하는 방식을 이용한다. 즉, 객체의 의존성을 주입하는 것으로 관리하는 것이다. 이는 모듈간의 결합도가 낮아지고 유연성이 높아지게 만든다.
의존성을 제거하는 클래스 구현 방법으로 각 클래스가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호출하게 하고 이때 의존성 주입을 통해 객체 생성을 추상화 하는 방법이 있는데 이것이 DI이다.
'프로그래밍수업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MongoDB] MongoDB 란? (0) | 2022.09.15 |
---|---|
[SpringBoot-JPA]기본키 매핑 방법 및 생성 (0) | 2022.09.01 |
Ajax 와 Jquery (0) | 2022.08.22 |
[SQL] 계정 및 테이블 생성하기, VARCHAR2와 키의 종류 (0) | 2022.07.24 |
2. [HTML/CSS] input태그의 id와 name (0) | 2022.07.23 |